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실린 곳 (정리: 전호영) 
어떤 사람의 친구가 사랑방에 와 앉았다. 하녀가 점심 상을 올려야 할 터인데, 눈치 없게도 주인의 친구가 갈 생각을 하지 않는다. 요즈음 같으면 함께 상을 차려 같이 들도록 했겠으나, 먹을 것이 귀하던 시절이라, 그러기가 그리 쉽지 않았다.
하녀가 생각다 못해 주인에게 물었다.

"인량복일(人良卜一)하오리까?"

그 뜻인즉,

'밥상(食)을 올리(上)리이까?'

하는 말이었다(人+良=食, 卜+一=上).
친구 앞에서 어찌 혼자 밥상을 받을 수 있겠는가?
해서, 주인이 말했다.

"월월산산(月月山山)이로다."

'벗(朋:붕)이 나가거든(出:출) 가져오너라'

하는 소리였다(月+月=朋, 山+山=出).
자기들끼리 뭔가 주절대는 말에 친구는 몹시 속이 상했다. 더욱이 그 뜻을 알고 보니 더 같잖았다. 그래서 자리를 툴툴 털고 일어나서는

"정구죽천(丁口竹天)이로세"

하고 댓돌을 내려섰다.

'웃기고들 앉았다(可笑:가소)'

는 뜻이었다(丁+口+可, 竹+天=笑).

거기까지는 그래도 괜찮았는데, 마당을 쓸고 있던 머슴이 사건을 알고 보니, 점잖은 양반들이 노는 게 추잡(醜雜)스러워 욕을 한 마디 내뱉었다.

"월시화중(月豕禾重)이로구나."

'먹는 데만 빠져 있으니 돼지의 족속(豚種:돈종)이로구나'

하는 소리였다(月+豕=豚, 禾+重=種).
이야기모음 사용 안내
22 우리나라 이야기 결혼식 날의 아버지
21 우리나라 이야기 네덜란드 신문에 난 거스 히딩크의 글
20 우리나라 이야기 세 젊은이
19 우리나라 이야기 김생원과 이생원의 축의금
18 우리나라 이야기 야한 한시
17 우리나라 이야기 [역사고증] 미국은 한국의 속국이었다!
16 우리나라 이야기 선비의 죽음
15 우리나라 이야기 조선시대의 팽형(烹刑)
14 우리나라 이야기 지네와 두꺼비
13 우리나라 이야기 새롭게 읽는 토끼와 거북이
12 우리나라 이야기 대장장이를 깨우친 이항복
11 우리나라 이야기 감동의 주례사
10 우리나라 이야기 귀이개에 찔려 죽은 노인
9 우리나라 이야기 황당한 이혼 사유들
8 우리나라 이야기 살모사
7 우리나라 이야기 개똥
6 우리나라 이야기 탱자나무 이야기
5 우리나라 이야기 효자와 산삼
4 우리나라 이야기 100번째 손님
3 우리나라 이야기 그 남자와 그 여자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