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관리자 2001-12-14 21:52:02
0 1960
실린 곳 2001.9.3 무등일보 
성서에 가장 많이 나오는 식물이 무화과다. 무려 60번 이상 나온다 . 예수가 무화과와 맺은 인연도 깊다.

배고플 때 잎이 무성한 무화과를 보고 가까이 갔으나 열매가 없자 저주를 한 일, 무화과 그늘에서 쉬다 랍비의 시선을 모은 일, 그를 배신한 유다가 무화과나무에 목매 죽은 일이 모두 그렇다.

이집트 마타리야에 아기 예수의 피난 교회가 있다. 헤롯왕의 유아 학살을 피해 애굽으로 떠난 요셉과 마리아가 쉬었다는 곳에 세워진 교회다. 그 자리에는 1672년과 1906년 두번이나 무화과 나무가 심어졌다. 처음 것이 시든 후 그 가지를 다시 심었는데 기이한 모양을 한 고목 원줄기는 지금도 남아 있다.

그로부터 백여년 후, 연암 박지원은 청나라 가는 사신을 따라 열하에 간 일이 있다. 그때 처음 본 것이 무화과다. 이 ‘이상한 나무’에 대해 ‘열하일기’는 이렇게 적고 있다. ‘잎은 동백 같고 열매는 탱자 비슷하다. 이름을 물은즉 무화과라 한다. 열매가 모두 두 개씩 나란히, 꼭지는 잇대어 달리었고, 꽃 없이 열매를 맺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지은 것이라 한다.’

그리스 신화에는 무화과 때문에 하늘에 던져져 까마귀 자리가 된 까마귀 이야기가 있다. 까마귀는 원래 태양의 신 아폴로가 키우던 은빛 날개의 새다. 어느 날 아폴로가 샘물을 떠오라고 멀리 심부름을 보냈다. 도중에 무화과를 발견한 까마귀는 나뭇잎 속에 앉아 무화과가 익기를 기다렸다 그것을 따먹고 물을 떠간 후 늦은 핑계를 물뱀에게 돌렸다. 화가 난 아폴로는 까마귀와 물뱀과 물컵을 하늘로 던져 버렸다.

복식사(服飾史)에서는 속옷의 기원을 금단의 과일을 먹고 남녀 육체의 차이를 알게 된 아담과 이브가 치부를 가린 무화과 잎에서 찾고 있다. ‘그러자 두 사람의 눈이 밝아져서, 자기들이 벗은 몸인 것을 알고, 무화과 잎으로 치마를 엮어서, 몸을 가렸다(창세기 3:7 )’가 그 근거.

무화과가 맛이 드는 철이다. 랍비들은 선악과를 무화과로 보고 있는데, 우리 사회에는 무화과 먹고 ‘선악’을 가려야 할 어른들이 너무 많다.
이야기모음 사용 안내
470 기타 이야기 만남
469 기타 이야기 "그 순간에도 하나님이 보고 계셨습니다!"
468 기타 이야기 아프리카 교회의 기도문
467 기타 이야기 인생의 다섯 가지 나이
466 기타 이야기 마음이 움직입니다!
465 기타 이야기 처녀막은 인간에게만 있다?
464 기타 이야기 한결같은 사람
463 기타 이야기 당신의 명함은?
462 기타 이야기 내가 좋아하는 여자
461 기타 이야기 하나님 없는 인생
460 기타 이야기 원수는 물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겨라
459 기타 이야기 나는 죄인입니다!
458 기타 이야기 성직자가 장수하는 이유
457 기타 이야기 진실보다 아름다운 거짓
456 기타 이야기 돈 욕심
455 기타 이야기 "난 자네 때문에 세 번 울었네"
454 기타 이야기 풀을 뽑지 않는 이유
453 기타 이야기 네 번째 동방박사 알타반
452 기타 이야기 "난 자네 때문에 세 번 울었네"
451 기타 이야기 찬송가 363장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