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실린 곳 (정리: 전호영) 
깊은 산 속에 한 노파(老婆) 살고 있었다. 그런데 이 할머니는 봇짐 장수나 돈냥이나 가진 과객(過客)이라면 무자비(無慈悲)하게 처치하고는 재물(財物)을 빼앗는 것이 일이다. 그런 목적으로 함께 산중 무인지경(無人之境)에 주막(酒幕)을 차려 놓고 길손을 노린다.

길손이 오는 기척을 알고, 노파는 방 으슥한 곳에 쳐진 병풍(屛風) 앞에 앉아 울고 있다.

길손이 인기척을 냈다.

"여기 하룻밤 묵어 갑시다."

"그런데 손님, 우리 영감이 오늘 아침에 세상을 떠났는데, 보시다시피 이 곳은 산중이라 일꾼을 찾을 길이 없으니, 우리 둘이 저 건너 산에 가서 좀 묻읍시다. 제발 도와주시구려. 그러면 내 후히 대접하리다."

이 봇짐 손님, 예측(豫測)하지 못한 불가피(不可避)한 상황(狀況)에 닥쳐 진퇴양난(進退兩難)이다. 어쨌거나 하룻밤을 쉬기는 쉬어야 하겠으니 거절할 수가 없다.

"좋습니다. 그러면 송장 묶을 밧줄이나 가지고 오시지요."

노파가 가져온 줄은 다 썩어 가는 새끼줄이었다.

"좀 튼튼한 걸 가지고 오시지요. 이걸 가지고 묶을 수 있겠습니까?"

노파가 울면서 대답했다.

"아이고오, 죽은 것만도 억울한데, 어찌 불쌍하게 꽁꽁 묶는단 말이오. 대강 묶어 거적에 싸 가지고 가서 묻읍시다."

봇짐장수가 시체(屍體)를 지고 산에 가 보니 하관(下棺)할 구덩이는 이미 파져 있었다. 산에 올라오는 길은 그다지 경사(傾斜)가 급하지 않았지만, 구덩이 한 편은 층암절벽(層岩絶壁)이었다. 손님은 시체의 발을 쥐고 절벽 쪽으로 가고, 주인 노파는 머리 부분을 들고 안쪽으로 섰다. 시체를 구덩이에 내려놓으려는 순간, 시체가 손님을 발로 차서 절벽으로 떨어뜨렸다. 이런 수법(手法)으로 그 얼마나 많은 사람이 절벽으로 떨어져 죽었던가!

그러나 문제는 봇짐장수가 천우신조(天佑神助)요 구사일생(九死一生)으로 간신히 살아났다는 데 있었다. 그 억울함이야 무엇으로 다 말하리.

봇짐 장수, 또 다시 봇짐을 해 가지고 그 주막을 찾았다. 사전(事前)에 변장변성(變裝變聲) 기술을 익혔음은 물론이다. 주막에 당도하니, 예의 노파가 역시 병풍 앞에서 울고 앉았다. 그 뒤의 일도 짜여진 각본(脚本) 그대로다. 이번에도 썩은 줄로 묶으라는 것이다.

그러나 봇짐장수 왈(曰),

"아니올시다. 시체를 그렇게 묶으면 복(福)이 떠나가니, 정 불쌍하시거든 산에 가서 풀어놓으시지요. 갈 때까지라도 야무지게 묶어야 하는 법이외다"

하면서 봇짐 줄을 풀어 수족(手足)을 먼저 묶고, 일곱 묶음 완전염(完全殮)을 마쳤다. 주인 노파는 그제야말로 정말 통곡(痛哭)을 한다. 장정이 순식간에 그렇게 해 치우니, 말릴 틈도 없고 누구에게 도움을 받을 사람도 없다.

장지(葬地)에 가서는

"머리 쪽이 더 무거우니 제가 들지요. 할머니께서는 발 쪽을 드시지요"

하며 각본을 완전히 뒤바꾸어, 송장과 노파를 절벽 아래로 떠밀어버렸다.
이야기모음 사용 안내
627 우리나라 이야기 꾀많은 생도와 글방 선생님
626 우리나라 이야기 저승 차사(差使)의 사무착오
625 우리나라 이야기 호장지환(虎丈之患)
624 우리나라 이야기 식자우환(識字憂患)
623 우리나라 이야기 동네의 기본 구색
622 우리나라 이야기 좋은 세상
621 우리나라 이야기 아는 체
620 우리나라 이야기 떼돈 번 알거지
619 다른나라 이야기 난 당신을 채용하겠소
618 우리나라 이야기 사부님 장가보내기
617 우리나라 이야기 담력(膽力) 내기
616 우리나라 이야기 출세한 똥 장사
615 우리나라 이야기 호로자식과 화냥년
614 우리나라 이야기 게으름의 극치(極致)
613 다른나라 이야기 지구마을 아침인사: 이란 ― "살럼 알레이콤"
612 우리나라 이야기 양반은 한 냥 닷돈?
611 기타 이야기 투병중 종교적 신념 잃으면 사망률 높아져
610 기타 이야기 종교인이 가장 오래 살아
609 기타 이야기 신도의 변명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