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실린 곳 남산편지 248 
우리나라 옛 선비들은 관료사회의 청렴도를 사불삼거(四不三拒)란 불문율로 측정하였습니다.

四不에서 一不은 부업(副業)을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었습니다. 관료는 아무리 작은 부업이라도 갖게 되면 부패해진다고 믿었습니다. 조선 선조때 호조(戶曹)에 이강원이란 6품직관리가 어느날 귀가해 보니 아내와 동생이 울긋불긋한 청국 비단을 방안에 쌓아놓고 살펴보고 있었습니다. 이게 웬 비단이냐고 물으니 그의 아내가 생활이 너무 어려워서 그동안 동생과 함께 비단장사를 해왔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이튿날 호조에 사직서를 냈습니다.

二不은 관료재임중 재산을 늘리지 않는 것이고, 三不은 재임중에는 집을 늘리지 않는 것, 四不은 재임중 그 고을의 특산물을 먹지않는 것입니다. 기건이란 사람이 제주목사로 부임해와 떠날때까지 전복을 한점도 입에 대지 않았던 것이나, 합천군수들이 재임중 은어를 먹지 않았던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한편 삼거(三拒)는 주로 청탁과 관련된 것들이었습니다.

一拒는 지체높은 세도가들의 부당한 청탁을 단호히 거절하는 것, 二拒는 친지의 합당한 청을 들어준 다음에 절대로 답례를 받지 않는 것, 三拒는 재임중 이유 없이 재물을 받지 않는 것입니다.

중종때 영의정이었던 성희안이 어느날 청송부사 정붕에게 편지를 써서 청송특산물인 꿀과 잣을 조금 보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이 편지를 받은 정붕은 성희안에게 이렇게 썼습니다. "잣나무는 산위에 있고, 꿀은 꿀통에 있다." 말하자면 높으신 분이 손을 벌려도 이에 단호하게 거절하는 꼿꼿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야기모음 사용 안내
508 기타 이야기 역사상 최초의 캐롤은?
507 기타 이야기 크리스마스의 유래
506 기타 이야기 수도사가 입 다문 이유
505 기타 이야기 줄어들지 않는 라면상자
504 기타 이야기 뉴욕에 번진 ‘선행 전염병’
503 기타 이야기 영웅 나폴레옹의 안식
502 기타 이야기 실수도 예술로 만드는 한해를…
501 기타 이야기 모든 염려 걱정 맡기고…
500 우리나라 이야기 황당한 이혼 사유들
499 기타 이야기 어느 흑인병사의 기도
498 기타 이야기 이곳이 바로 그 지옥이지요
497 다른나라 이야기 엽기적인 사건 사고들
496 기타 이야기 땅콩이 지닌 의미
495 기타 이야기 “공부 잘하는 7가지 방법 있다”... 정근모 박사
494 기타 이야기 나는 50년을 참아왔는데
493 기타 이야기 자선의 황금계단
492 기타 이야기 사랑 교감
491 다른나라 이야기 슈바이처 박사의 일화
490 기타 이야기 바로 걷기
489 기타 이야기 숯과 다이아몬드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