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인도 사람들의 제사

by 마을지기 posted Jan 23, 2006
Extra Form
보일날 2006-02-04
출처 이재숙 편, 《우파니샤드》(도서출판 풀빛, 2005), 27-28쪽
책본문 인도 사람들은 제사를 지낼 때 네모난 제단을 만들고 그 안에 불을 피워 불의 신 아그니를 모신다. 그리고 그 불에 곡물, 버터 같은 제물을 바쳤다. 비를 내려 주는 인드라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도, 농사가 잘 되기를 빌기 위해 땅의 신 쁘리트위(Prthvi)에게 제사를 지낼 때도, 먼저 아그니 신에게 제물을 바치면 아그니 신이 그것을 태워 연기로 만들어 하늘의 해당 신에게 날라다 준다고 믿었다. 제물이 불에 완전히 타서 그 연기만이 신에게 간다는 것은, 제물이 얼마나 크고 많고 귀한 것인가가 기준이 아니라, 제물에 담긴 정성이 얼마나 간절한가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사용처 1. 20130505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코멘트 부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느 나라나
제사의식은 다 있었습니다.
제사의 기본이 정성이라는 것도
어느 나라 어느 시대든 마찬가지입니다.

하느님께 드리는 종교적 제사든,
조상들께 드리는 효의 제사든,
언제나 음식과 제물이 있기 마련인데
하느님이나 조상이 그걸 드시지는 않습니다.

다만 인간의 정성이 눈에 보이지 않기에
눈에 보이는 무엇인가가 필요해서
경건하게 제상이나 제단을 만들고
음식과 제물을 차려놓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게 하다가 보니 정성은 뒷전이고
눈에 보이는 부분만 확대되었습니다.
‘정성 먼저, 제물 뒤에’라는 순서를 지켜
제물과 정성의 조화를 이루어야겠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297 2010-02-24 인생의 즐거움이란 4897
1296 2009-08-27 인생의 주로(走路) 3361
1295 2003-08-15 인생의 일곱 단계 1886
1294 2005-11-16 인생의 성공 2900
1293 2010-01-12 인생을 즐기려면 4387
1292 2005-12-03 인생은 무엇인가? 3485
1291 2008-11-19 인생은 말에 달려 있다 2633
1290 2004-08-04 인생 지우개 2405
1289 2008-06-18 인디언들이 도태된 이유 3335
1288 2007-12-26 인디언 기도문 2902
1287 2005-07-12 인도인 프로그래머가 많은 이유 3079
» 2006-02-04 인도 사람들의 제사 3015
1285 2004-01-30 인과응보의 수지타산 2087
1284 2008-09-16 인격의 척도 3284
1283 2009-08-31 인간이 흘리는 고귀한 액체 3230
1282 2004-03-11 인간이 사는 곳 2265
1281 2008-10-31 인간의 육체 2970
1280 2003-10-08 인간의 유형 2107
1279 2008-05-15 인간의 머리는 슈퍼 컴퓨터 3270
1278 2004-01-06 인간으로 태어났다는 것 18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