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고백성사

by 마을지기 posted Jul 07,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6-06-01
출처 최인호, 《날카로운 첫키스의 추억》(여백미디어, 2000), 40-41쪽
책본문 중세기 이탈리아의 화가 페루기니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습니다만 평소의 고백성사에 대해서 많은 회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벌을 받을까 겁에 나서 고백성사를 보고자 하는 그런 생각이 드는 경우에는 아예 성사를 보지 않겠다고 결심하였습니다. 왜냐하면 다만 벌을 받을까봐 하는 고백성사는 하느님의 징벌을 막아주는 보증서로 전락되어 하느님의 자비보다는 사제의 사죄에 대해 더 신뢰하게 될 위험성이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다가 마침내 임종을 맞게 되었습니다. 이 때 그의 부인이 고백성사를 안 보고 죽는 것미 두렵지 않느냐고 물었습니다. 이 때 페루기니는 다음과 같미 대답하였습니다.

"여보, 난 평생 동안 그림을 그리는 화가였소. 내 전문직은 그림을 그리는 일이었고 화가로서 제법 뛰어났었다고 자부하오. 하느님의 전문은 용서하시는 일인데 그 하느님께서 내가 화가로서의 전문직을 잘 해왔듯이 당신의 전문 일을 잘 하신다면 내가 두려워할 까닭이 없지 않겠소."
중세기의 이탈리아라면 교회의 권위가
하늘을 찌를 만큼 컸던 시기였습니다.
교회의 제도와 관습을 무시하는 것은 곧
'지옥행'이라고 여겨졌던 시기였습니다.

페루기니는 교회의 가르침이라고 하더라도
자기가 납득하지 않으면 행치 않았습니다.
이렇게 진지하게 신앙생활을 하는 이라면
하느님께서도 기꺼이 용납하실 것입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417 2009-08-21 어지간하면 들어주자! 3469
416 2009-03-06 노력한 만큼의 결실 3470
415 2009-05-28 선약 3470
414 2009-04-08 가르치기와 배우기 3471
413 2009-04-14 이미 받았다고 믿어야 한다! 3471
» 2006-06-01 고백성사 3472
411 2009-09-15 회를 먹을 때 3472
410 2008-09-08 별을 보며 다짐한 것 3475
409 2009-03-19 개도 제 밥통 차면 주인을 문다 3477
408 2009-02-04 이 지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 3478
407 2005-12-03 인생은 무엇인가? 3485
406 2009-02-20 말 속의 뜻 3486
405 2006-05-03 모국어가 국어이고 공용어인 나라 3487
404 2007-12-06 “아직 나는 행복하다!” 3487
403 2008-03-10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는 용기 3487
402 2009-11-06 첫 단추 3487
401 2009-09-29 전쟁에 쓸 수 있는 말 3488
400 2009-05-04 엄마의 무릎 3490
399 2008-01-24 농부에게 배운 황희 정승 3491
398 2009-07-02 훌륭한 파트너를 찾아라 3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