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염치

by 마을지기 posted Oct 29,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7-12-18
출처 서정인, 《모구실》((주)현대문학, 2005), 259쪽
책본문 “세상은 가진 자와 없는 자로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가지려고 하는 자와 가지려고 하지 않는 자로 한 나라에 두 나라가 있다.”

“요즘 세상에 돈 마다하는 사람도 있소?”

“없다.”

“그럼 두 나라가 통일이 됐소?”

“그렇다.”

“그게 뭐 잘못됐소?”

“옛날에도 돈 싫어하는 사람 없었다. 다만 염치가 있었다. 혹 그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으면 존경했다. 지금처럼 경멸하거나 병신 취급을 하지 않았다. 깨끗한 돈을 사양하는 것은 미덕이었고, 더러운 돈을 마다고 하는 것은 의무였다. 사양지심과 수오지심이 없어져봐라. 그게 사람이냐? 파렴치가 염치를 합병했다.”
요즘이나 옛날이나 돈을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옛날에는 그래도
'염치'가 상당히 존중되었다는 것입니다.

‘염치’(廉恥)란 청렴할 염(깨끗할 염) 자에,
부끄러울 치 자를 써서,
이게 깨끗한 일인지 부끄러운 일인지,
분간을 할 줄 안다는 말입니다.

'염치 없는 사람'이란 잘못을 저질러놓고도,
부끄러운 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오직 돈만을 위해서 염치를 저버리는 것은
사람이기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157 2006-03-24 영원한 잘못은 없다! 2875
1156 2004-10-06 영원한 승자 2428
1155 2005-01-14 영원한 것과 유한한 것 2737
1154 2010-11-12 영양 고추 4691
» 2007-12-18 염치 2963
1152 2008-11-20 열정을 다하여 살라 2809
1151 2008-03-26 열정은 이성을 앞지른다! 2965
1150 2005-10-21 연필과 컴퓨터 2499
1149 2005-06-21 연민 2779
1148 2006-02-27 역사는 진실을 저버리지 않는다 2916
1147 2010-08-16 여행 4829
1146 2006-01-25 여자 나이 3237
1145 2009-12-17 여유를 즐겨라! 3926
1144 2009-11-04 여우는 행동으로 보여준다 3451
1143 2010-03-05 여우는 주도권보다 실권을 쥔다 4713
1142 2008-07-07 여우는 자신의 시간을 존중한다 3084
1141 2005-12-05 여우는 자신을 소중히 여긴다 3287
1140 2006-01-14 여우는 운전석에 앉는다 3379
1139 2006-01-10 여우는 여왕처럼 행동한다 3656
1138 2006-03-02 여우는 남자의 자존심을 지켜준다 33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