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유토피아를 꿈꾸던 사람

by 마을지기 posted Nov 11,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8-06-27
출처 토머스 모어(김선희 편), 《유토피아》(파란자전거, 2005), 14-16쪽
책본문 1535년 7월 6일, 그날은 토머스 모어가 단두대에 오르는 날이었습니다. 나라에 반역죄를 지었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사형집행관이 다가와 모어에게 마지막으로 술 한 잔을 권했습니다. 그러나 모어는 술잔을 거부했습니다.

“주님은 가시는 날, 식초와 쓸개를 드셨다네.”

드디어 모어는 단두대에 올랐습니다.

“왕의 충직한 신하로서, 그러나 하느님을 먼저 섬기는 신하로서 나는 죽는다.”

그러고는 사형대 위에 목을 길게 늘어뜨렸습니다. 사형집행관의 날카로운 칼날이 떨어지면 모어의 목숨은 영영 저세상으로 가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런데 사형집행관은 모어의 목을 베는 것이 두려워 벌벌 떨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모어가 먼저 말을 건넸습니다.

“자네가 내 목을 베는 것은 나라에 대한 충성이요, 내가 자네의 칼에 죽는 것은 하느님에 대한 충성이라네.”

그러고는 또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내 수염은 반역죄를 저지른 일이 없다네. 내 수염은 한쪽으로 옮겨 놓을 수 있도록 잠깐만 기다려 주겠나?”

그는 수염이 잘리지 않게 목을 앞으로 쭉~ 뺐습니다.

“됐네. 내 목은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마침내 칼날이 떨어지고 토머스 모어는 저세상으로 떠났습니다.
사용처 1. 20130630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
2. 20130821 수 내일신문 전대환 칼럼.
3. 20151108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
《유토피아》을 썼던 토머스 모어.
그를 존경하고 사랑했던 친구 에라스무스는,
토머스 모어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고 합니다.

"토머스 모어는 하얀 눈보다 더
순결한 영혼을 가진 사람이었다.
영국은 과거에도, 앞으로도 모어와 같은 천재를
두 번 다시 얻지 못할 것이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257 2004-08-14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광복 소식 2494
1256 2004-11-08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2494
1255 2004-07-22 리더를 격려하라 2495
1254 2005-02-25 화가 풀리지 않는다면 2495
1253 2004-07-06 숨을 내쉬며 난 미소짓는다 2496
1252 2004-04-01 어리숙해지는 일 2499
1251 2005-10-21 연필과 컴퓨터 2499
1250 2004-09-15 골난 사람 달래주기 2500
1249 2005-05-31 누가 그 음식을 먹겠느냐? 2504
1248 2004-04-10 비겁한 공격 2505
1247 2005-10-18 남자를 주방으로! 2506
1246 2004-06-07 신앙이 있으면 더 행복하다 2509
1245 2004-06-18 다람쥐의 건망증 2509
1244 2004-05-14 보수주의란 2510
1243 2005-03-18 하느님은 너무 멀리 있다 2512
1242 2005-04-29 자신감은 IQ보다 똑똑하다 2515
1241 2004-06-01 6월에는 땀을 흘리자 2517
1240 2005-08-11 자본주의 경제의 속성 2520
1239 2005-05-12 질문 2522
1238 2004-05-03 오월은 그렇게 서정적으로 오지 않았다 2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