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유토피아를 꿈꾸던 사람

by 마을지기 posted Nov 11,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8-06-27
출처 토머스 모어(김선희 편), 《유토피아》(파란자전거, 2005), 14-16쪽
책본문 1535년 7월 6일, 그날은 토머스 모어가 단두대에 오르는 날이었습니다. 나라에 반역죄를 지었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사형집행관이 다가와 모어에게 마지막으로 술 한 잔을 권했습니다. 그러나 모어는 술잔을 거부했습니다.

“주님은 가시는 날, 식초와 쓸개를 드셨다네.”

드디어 모어는 단두대에 올랐습니다.

“왕의 충직한 신하로서, 그러나 하느님을 먼저 섬기는 신하로서 나는 죽는다.”

그러고는 사형대 위에 목을 길게 늘어뜨렸습니다. 사형집행관의 날카로운 칼날이 떨어지면 모어의 목숨은 영영 저세상으로 가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런데 사형집행관은 모어의 목을 베는 것이 두려워 벌벌 떨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모어가 먼저 말을 건넸습니다.

“자네가 내 목을 베는 것은 나라에 대한 충성이요, 내가 자네의 칼에 죽는 것은 하느님에 대한 충성이라네.”

그러고는 또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내 수염은 반역죄를 저지른 일이 없다네. 내 수염은 한쪽으로 옮겨 놓을 수 있도록 잠깐만 기다려 주겠나?”

그는 수염이 잘리지 않게 목을 앞으로 쭉~ 뺐습니다.

“됐네. 내 목은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마침내 칼날이 떨어지고 토머스 모어는 저세상으로 떠났습니다.
사용처 1. 20130630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
2. 20130821 수 내일신문 전대환 칼럼.
3. 20151108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
《유토피아》을 썼던 토머스 모어.
그를 존경하고 사랑했던 친구 에라스무스는,
토머스 모어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고 합니다.

"토머스 모어는 하얀 눈보다 더
순결한 영혼을 가진 사람이었다.
영국은 과거에도, 앞으로도 모어와 같은 천재를
두 번 다시 얻지 못할 것이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257 2008-02-29 이 세상에서 더욱 더 아름다운 사람 3586
1256 2008-10-17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 3219
1255 2010-02-08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4438
1254 2004-06-19 의지하지 마라 2627
1253 2005-02-16 의심의 원인 2819
1252 2005-06-10 의심을 해소하려면 2936
1251 2006-02-07 의심은 살인죄다! 2924
1250 2008-11-27 의심에 대하여 2652
1249 2004-01-29 의식의 키는 죽을 때까지 자란다 2158
1248 2004-04-08 의사는 철학자여야 한다 2160
1247 2005-05-04 의미 있는 행동 2995
1246 2003-11-14 의로운 판사님 1851
1245 2006-06-13 응답 받는 기도 3591
1244 2005-07-25 읍내 교회 2627
1243 2010-08-12 음식의 맛, 음식의 영혼 4919
1242 2010-11-16 은행(銀杏) 4306
1241 2009-06-23 은덕을 잊지 않는 것 3691
1240 2004-10-15 유혹을 물리친 아버지 2010
1239 2006-05-29 유토피아를 꿈꾸던 사람 3116
» 2008-06-27 유토피아를 꿈꾸던 사람 3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