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예술의 아름다움

by 마을지기 posted Mar 07, 2006
Extra Form
보일날 2008-07-03
출처 박정자, 《빈센트의 구두》(도서출판 기파랑, 2005), 76쪽
책본문 우리가 예술작품을 보고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그것이 무(無)를 표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가끔 그림으로 그려진 물체가 현실의 모습이었을 때는 별 감흥이 없다가 일단 화폭에 옮겨지면 왜 미적 감흥을 주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하찮은 주전자, 전등갓, 탁자 같은 것도 화가가 캔버스에 그려 놓으면 실제의 그 물건들에서 느낄 수 없었던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왜 그럴까? 현실 속의 주전자나 전등갓은 실재이고 현실이지만 그림 속의 그것들은 실재가 아니고 비현실이기 때문이다. 현실은 아름답지 않은데 일단 그것을 무화시켜 비-존재, 무(無)로 만들어 놓으면 거기에서 미가 발생한다. 초록빛 잔디밭 속에 민들레나 제비꽃이 드문드문 피어 있는 봄 경치를 보고 ‘이것을 그림으로 그리면 참 아름다울 텐데’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사르트르적 미학을 알지 못한 채 그의 예술이론을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현실세계의 입체를 화폭에 담는 것은
삼차원을 이차원으로 축소시키는 것입니다.
무(無)화 시키는 것, 곧 존재를 축소시키는 것,
거기서 우리는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습니다.

퍼져 있는 공간을 화폭으로 제한시키고,
삼차원의 입체를 이차원 평면에 그리는 것,
이것은 사람의 유한성을 인정하는 행위이며,
유한함 안에서 즐거움을 찾는 일입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177 2004-12-21 올바로 알아차리기 2124
1176 2004-05-15 온전히 보시하는 방법 2670
1175 2004-05-07 온전한 정신 2297
1174 2004-08-07 온전한 경전이란? 2426
1173 2007-06-22 온전하게 산다는 것은 3705
1172 2005-07-02 오직 당신들뿐입니다 2843
1171 2008-11-21 오전을 느긋하게 2827
1170 2005-05-06 오월의 축제 2768
1169 2004-05-03 오월은 그렇게 서정적으로 오지 않았다 2524
1168 2010-05-11 오성(悟性)이 예민해지는 때 4581
1167 2008-12-26 오마담이 좋아하는 남자 3001
1166 2005-06-07 오늘이 마지막 날인 듯 살아가라 2674
1165 2010-05-28 오, 우주여! 5417
» 2008-07-03 예술의 아름다움 3320
1163 2010-12-22 예수와 마리아를 새롭게 만나다 4186
1162 2005-12-24 예수님이 계시는 곳 2675
1161 2004-06-21 예수님의 기적 2365
1160 2004-03-06 예수님도 그랬습니다 2314
1159 2006-04-14 예수께서 끌려가신 밤 2961
1158 2003-09-07 옆 사람에게 물이 튀지 않게 2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