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고유의 본성

by 마을지기 posted Nov 05,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8-09-11
출처 길희성, 《보살 예수》(현암사, 2005), 157-158쪽
책본문 가령 여기 책이 한 권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책이 ‘책’으로 존재하는 것은, 우선 그것을 책으로 취급하는 독자가 있어야 하고 읽는 행위가 있어야 하며, 나아가 책을 만든 사람과 출판사, 더 나아가 나무와 펄프 공장과 제지소, 그리고 산과 구름과 비 등 수없이 많은 요소가 다 함께 조건이 되어서입니다. 책은 온통 책 아닌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지요. 그러므로 이 책은 존재론적으로 보아 그 자체의 존재성이 없으며, 책으로서의 고유한 본성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책을 다른 여러 이름으로 불러도 무방하지요. 나무-구름-학생-종이 등 복합 이름으로 부를 수도 있지만, 편의상 하나의 이름을 붙인 것뿐입니다. 또한 책은 다른 용도로 쓰는 순간 더 이상 책이 아닙니다. 휴지로 쓰는 순간 책이 아니라 휴지로 불러야 마땅하며, 화가 나서 누구에게 던지면 일종의 무기로 돌변하기도 하지요. 이렇게 사물이란 조건과 관계와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독자적 존재도 아니고 고정적 본성이나 본질도 없다는 것이 공 개념의 진리입니다.
우리가 '내 몸'이라고 하지만 사실 '내 몸'에서
내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쌀, 물, 불, 공기, 흙 등의 물질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들어와서 '내 몸'을 형성한 것이지요.

그러므로 '나'라는 것은 편의상 부르는 말일 뿐,
고유의 존재성을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나'와 '너'는 하나일 수밖에 없고,
'나'와 '자연'도 하나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437 2010-01-04 가장 행복한 인간 4288
1436 2009-12-31 당신의 적을 축복하고 찬양하라! 4163
1435 2009-12-30 소비 침체를 일거에 타파할 복안 3843
1434 2009-12-29 조각보 4029
1433 2009-12-28 무릎 꿇은 자작나무 4191
1432 2009-12-24 성탄절의 촛불 4127
1431 2009-12-23 부처님을 팔지 말라 3802
1430 2009-12-22 피해의식에 대하여 3930
1429 2009-12-21 존재의 까닭과 깊이 3949
1428 2009-12-18 그리움 하나 3972
1427 2009-12-17 여유를 즐겨라! 3926
1426 2009-12-16 김칫독 4060
1425 2009-12-15 이불 3969
1424 2009-12-14 법이 요란할수록 도둑이 많다! 3889
1423 2009-12-11 서로 다른 종소리 4085
1422 2009-12-10 나는 악마에게 이렇게 말한다! 3841
1421 2009-12-09 때로는 시간을 낭비해 보라 4238
1420 2009-12-08 남자가 무시한다면? 4618
1419 2009-12-07 뇌를 늙지 않게 하려면 4355
1418 2009-12-04 마음이 피로하면 몸을 움직여 보라! 44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