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고유의 본성

by 마을지기 posted Nov 05,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8-09-11
출처 길희성, 《보살 예수》(현암사, 2005), 157-158쪽
책본문 가령 여기 책이 한 권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책이 ‘책’으로 존재하는 것은, 우선 그것을 책으로 취급하는 독자가 있어야 하고 읽는 행위가 있어야 하며, 나아가 책을 만든 사람과 출판사, 더 나아가 나무와 펄프 공장과 제지소, 그리고 산과 구름과 비 등 수없이 많은 요소가 다 함께 조건이 되어서입니다. 책은 온통 책 아닌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지요. 그러므로 이 책은 존재론적으로 보아 그 자체의 존재성이 없으며, 책으로서의 고유한 본성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책을 다른 여러 이름으로 불러도 무방하지요. 나무-구름-학생-종이 등 복합 이름으로 부를 수도 있지만, 편의상 하나의 이름을 붙인 것뿐입니다. 또한 책은 다른 용도로 쓰는 순간 더 이상 책이 아닙니다. 휴지로 쓰는 순간 책이 아니라 휴지로 불러야 마땅하며, 화가 나서 누구에게 던지면 일종의 무기로 돌변하기도 하지요. 이렇게 사물이란 조건과 관계와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독자적 존재도 아니고 고정적 본성이나 본질도 없다는 것이 공 개념의 진리입니다.
우리가 '내 몸'이라고 하지만 사실 '내 몸'에서
내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쌀, 물, 불, 공기, 흙 등의 물질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들어와서 '내 몸'을 형성한 것이지요.

그러므로 '나'라는 것은 편의상 부르는 말일 뿐,
고유의 존재성을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나'와 '너'는 하나일 수밖에 없고,
'나'와 '자연'도 하나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437 2010-01-13 남을 속인 줄 알았는데… 4334
1436 2009-12-03 리더의 제1계명 4329
1435 2010-12-13 사라진 암 덩어리 4327
1434 2010-12-27 12월! 4321
1433 2010-11-29 "산짐승과 들꽃은 병이 없다!" 4320
1432 2010-12-20 매일 아침 얼굴을 점검하라! 4316
1431 2008-09-22 짚방석 내지 마라 4313
1430 2010-11-16 은행(銀杏) 4306
1429 2010-11-15 참다운 젊음이란? 4299
1428 2010-01-26 가이사와 더불어 일어서느니보다 4291
1427 2010-01-04 가장 행복한 인간 4288
1426 2010-11-23 선택할 줄 아는 능력 4287
1425 2010-11-17 "그 상식, 그 원리는 진리인가?" 4262
1424 2010-11-22 국화 4257
1423 2010-11-24 "전쟁보다는 낫다!" 4254
1422 2010-11-18 훌륭한 영혼 4248
1421 2010-01-20 사람이 자주 모이는 집 4240
1420 2009-12-09 때로는 시간을 낭비해 보라 4238
1419 2009-12-01 과거 청산 4238
1418 2010-11-30 "무얼 더 보태겠다시는가?" 4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