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자네 몸이 편하면 되지"

by 마을지기 posted May 30,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8-10-29
출처 정병헌 이지영 편, 《우리 선비들은 사랑과 우정을 어떻게 나누었을까》(사군자, 2005), 65쪽
책본문 졍녜(곽주의 딸 이름)는 어찌 있는고. 더욱 잊지 못하여 하네. 비록 딸을 또 낳아도 절대로 마음에 서운히 여기지 마소. 자네 몸이 편하면 되지, 아들은 관계치 아니하여 하네. 장모께는 종이가 없어서 안부도 못 아뢰오니 이런 까닭을 여쭙고, 아이 낳기를 시작하면 사람을 즉시 시켜 보낼 일을 좀 아뢰소. 면화는 아기씨가 (저울로) 달아서 봉하여 보내네.

나는 요사이 내내 머리가 아파 누웠다가 어제부터 성하여 있네. 걱정 마소. 면화는 일곱 근 여덟 냥, 실겻(실타래)은 두 근 넉 냥이라 하네. *소용도 보내네. 바빠 이만. 즉일. 가서(家書).

*소용: 참기름 따위를 담아 두는 갸름하고 조그마한 병.
17세기 초에 경상도 현풍의 소례 마을에서
가솔들을 거느리고 살았던 곽주라는 사람이,
출산을 앞두고 친정에 가 있는 아내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입니다.

경상도 남자들이 무뚝뚝하다고 하지만,
그것은 요즘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그 옛날 조선시대의 경상도 양반도
이렇게 아내를 끔찍하게 생각했으니….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157 2006-03-24 영원한 잘못은 없다! 2875
1156 2004-10-06 영원한 승자 2428
1155 2005-01-14 영원한 것과 유한한 것 2737
1154 2010-11-12 영양 고추 4691
1153 2007-12-18 염치 2963
1152 2008-11-20 열정을 다하여 살라 2809
1151 2008-03-26 열정은 이성을 앞지른다! 2965
1150 2005-10-21 연필과 컴퓨터 2499
1149 2005-06-21 연민 2779
1148 2006-02-27 역사는 진실을 저버리지 않는다 2916
1147 2010-08-16 여행 4829
1146 2006-01-25 여자 나이 3237
1145 2009-12-17 여유를 즐겨라! 3926
1144 2009-11-04 여우는 행동으로 보여준다 3451
1143 2010-03-05 여우는 주도권보다 실권을 쥔다 4713
1142 2008-07-07 여우는 자신의 시간을 존중한다 3084
1141 2005-12-05 여우는 자신을 소중히 여긴다 3287
1140 2006-01-14 여우는 운전석에 앉는다 3379
1139 2006-01-10 여우는 여왕처럼 행동한다 3656
1138 2006-03-02 여우는 남자의 자존심을 지켜준다 33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