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쓸데없이 태어난 건 없다!

by 마을지기 posted Oct 27, 2008
Extra Form
보일날 2008-11-10
출처 황대권, 《야생초 편지》(도서출판 도솔, 2002), 272-273쪽
책본문 야초가 자라는 것을 가만히 보면 말예요. 이것이 쓸데없이 그 자리에 난 게 아닙니다. 이런 얘기 많이 하지만,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창조하실 때 쓸모없는 것은 하나도 안 만들었다는 겁니다. 야초도 마찬가지에요. 야초가 쓸데없이 그 자리에 난 건 하나도 없어요. 다 자연이, 그 땅이 필요해서 야초를 그 자리에 키우는 것이죠. 쓸데없이 난 게 아니에요. 예를 들면 어떤 특정 잡초들은 그 토양이 척박해서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뿌리를 저 땅속 깊이 내려 땅속 암반에서 미네랄을 끌어올려서 토양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이건 걸 요즘 농부들이 몰라요. 그리고 어떤 풀들은 공기 중에서 필요한 무기물질을 흡수해서 토양으로 보내 주기도 합니다. 또 풀을 다 뽑아 버리고 맨땅이 드러나게 되면 비나 바람 때문에 토양유실이 심화됩니다. 토양이 침식되고 그런 걸 땅이 싫어하니까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잡초를, 풀을 내는 겁니다. 그밖에 인간들이 알지 못하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습니다. 우리들이 아직 그걸 다 밝혀내지 못하고 있어요. 무식한 놈이 용감하다고 지금 그런 식으로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사용처 1. 20081109 일 구미안디옥교회 주일예배.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여기저기
널려 있는 풀을 잡초(雜草)라고 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것들을 야초(野草)라고 부릅니다.
그것들은 잡스러운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잡초라고 할 때, 우리는 무심코
뽑아야 할 대상이라고 여기게 되지만,
야초라고 하면, 그것들은 우리가 더불어
살아야 할 상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157 2009-09-08 가난뱅이의 눈, 부자의 눈 3355
1156 2008-06-10 금덩이를 던져버린 형제 3352
1155 2008-04-03 로마 시민의 권리 3352
1154 2008-08-21 평온하게 가는 길 3351
1153 2009-04-10 3350
1152 2008-10-09 가을의 기도 3349
1151 2008-01-31 정의와 불의 3348
1150 2006-03-11 먼저 가르쳐야 할 것 3348
1149 2009-06-02 많은 일이 겹쳐 당황될 때 3347
1148 2008-10-01 다른 사람 이해하기 3347
1147 2008-02-14 깨닫기 위해서라면 3346
1146 2006-01-13 가슴이 시키는 것을 하라 3346
1145 2008-11-07 부처님 팔아먹기 3345
1144 2008-08-14 “오늘 나는 번뇌에서 벗어났다!” 3344
1143 2009-07-23 낙타의 지혜 3342
1142 2009-04-29 "노화 프로세스는 학습된다!" 3341
1141 2009-08-18 남자들이 선택하는 여자들 3340
1140 2009-07-20 니체 3339
1139 2009-05-29 세 가지 선택 3339
1138 2008-07-30 지금 이 순간의 감사와 기쁨은 3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