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소나무 송(松)’ 자의 유래

by 마을지기 posted May 28,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9-01-06
출처 정동주, 《소나무》(기획출판 거름, 2000), 35쪽
책본문 '소나무 송(松)' 이란 한자에는, 중국 진시황제가 길을 가다 소나기를 만났는데 소나무 덕에 비를 피할 수 있게 되자 고맙다는 뜻으로 나무에게 공작의 벼슬을 주어 '목공'(木公) 즉 나무공작이라 하였고 이 두 글자가 합해져서 '松 자가 되었다는 옛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동양이나 서양이나,
옛날이나 요즘이나,
세상이 평온할 때는 언제나
천지인(天地人)이 조화를 이룹니다.

하느님과 사람과 자연이
서로서로 통하여 어우러질 때,
신은 은총을, 자연은 열매를,
사람은 감사를 내놓게 됩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577 2003-12-17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날 2010
1576 2004-10-15 유혹을 물리친 아버지 2010
1575 2004-02-29 무궁무궁 금수강산 2011
1574 2004-02-22 어루만지는 것은 2012
1573 2004-02-19 "자네가 눕게" 2013
1572 2003-11-11 긍정적인 밥 2014
1571 2004-01-22 "마음이 통해야지" 2017
1570 2004-10-19 자녀들의 용돈 2020
1569 2003-09-21 평화의 기도 2025
1568 2003-08-28 요령 좋은 인간과 현명한 인간 2030
1567 2003-09-14 두부 2032
1566 2004-01-27 무엇이 표준인가 2033
1565 2004-02-27 시인 2033
1564 2004-11-10 큰 사람이 큰 사람을 알아본다 2034
1563 2004-01-20 한 여성을 사랑하는 사람은 2037
1562 2003-08-08 행복은 언제나 불행과 함께 온다 2038
1561 2003-08-04 유대 학문의 전체 2040
1560 2015-10-12 “의사가 뭐라고 했어?” 2040
1559 2004-02-25 딸들의 재능 2041
1558 2004-01-23 죽음에 대하여 20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