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소나무 송(松)’ 자의 유래

by 마을지기 posted May 28,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9-01-06
출처 정동주, 《소나무》(기획출판 거름, 2000), 35쪽
책본문 '소나무 송(松)' 이란 한자에는, 중국 진시황제가 길을 가다 소나기를 만났는데 소나무 덕에 비를 피할 수 있게 되자 고맙다는 뜻으로 나무에게 공작의 벼슬을 주어 '목공'(木公) 즉 나무공작이라 하였고 이 두 글자가 합해져서 '松 자가 되었다는 옛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동양이나 서양이나,
옛날이나 요즘이나,
세상이 평온할 때는 언제나
천지인(天地人)이 조화를 이룹니다.

하느님과 사람과 자연이
서로서로 통하여 어우러질 때,
신은 은총을, 자연은 열매를,
사람은 감사를 내놓게 됩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397 2008-09-17 나의 부재를 애통해하는 사람은? 3301
396 2007-12-07 나의 매력 3659
395 2008-11-17 나에게 항상 친절한 사람 3025
394 2008-10-21 나쁜 상황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2761
393 2005-01-18 나비효과 2601
392 2005-10-26 나비효과 2698
391 2010-07-21 나무는 5014
390 2007-12-14 나무노래 3278
389 2005-04-04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은 2776
388 2003-10-26 나를 키우는 말 1906
387 2003-09-29 나를 위로하는 날 2085
386 2004-06-10 나를 사랑해야 한다면 2072
385 2004-02-28 나를 놀라게 했던 것 2159
384 2005-07-13 나라가 망할 조건 2686
383 2009-02-13 나는 피해자인가 3589
382 2010-08-26 나는 편안함을 주는 사람인가? 5216
381 2004-02-15 나는 젖은 나무 2397
380 2005-01-24 나는 이렇게 가르치리라 2444
379 2008-11-26 나는 왜 시인이 되었는가? 2772
378 2003-09-01 나는 왕따다 23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