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마부를 풀어 주시오!"

by 마을지기 posted Feb 14, 2009
Extra Form
보일날 2009-02-16
출처 풍몽룡(홍성민 역), 《지경(智經)》(청림출판, 2003), 308쪽
책본문 제나라 경공이 준마 네 마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마부가 말들을 죽였다. 경공이 크게 화를 내며 손수 창을 들고 마부를 죽여 버리겠다고 나섰다. 안영이 경공을 말리며 말했다.

“지금 이렇게 마부를 죽이신다면, 그 사람은 자기가 무얼 잘못했는지 모를 것입니다. 신이 우선 마부에게 죄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지적해 주겠습니다.”

경공이 분을 가라앉히며 그렇게 하라고 허락했다.

안영이 창을 들고 마부가 있는 곳으로 가서 말했다.

“너는 전하의 말을 잘 길러야 하는데 오히려 말들을 다 죽였다. 이것이 너의 첫 번째 죽을죄이다. 너는 전하께서 말 때문에 마부를 죽이게 만들었다. 이것이 너의 두 번째 죽을죄이다. 너는 전하께서 말 때문에 마부를 죽였다는 소문이 사방의 제후들에게 다 퍼지도록 만들었다. 이것이 너의 세 번째 죽을죄이다.”

안영이 말을 끝내자, 옆에서 듣고 있던 경공이 차분한 목소리로 말했다.

“선생, 마부를 풀어 주시오. 나의 어진 성품에 해가 되겠소.”
만일 안영이, 왕의 명령만 받을어
그를 죽게 그냥 놓아두었더라면
마부도 한을 품은 채 죽었을 것이고
왕도 포악한 사람이라는 평을 받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안영은 참 지혜로운 사림이었습니다.
그 지혜로 왕도 살리고 마부도 살렸습니다.
마부가 죽었더라도 별 문제가 없었을지 모르지만
한 사람의 지혜가 세상을 편하게 해주었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237 2009-03-10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것 3623
1236 2009-03-09 결백 3443
1235 2009-03-06 노력한 만큼의 결실 3470
1234 2009-03-05 훨씬 더 많은 햇빛 3397
1233 2009-03-04 "나는 그런 거 없다!" 3495
1232 2009-03-03 3397
1231 2009-03-02 명예로워지기 3514
1230 2009-02-27 감사의 표현 3831
1229 2009-02-26 거상 임상옥 4007
1228 2009-02-25 때를 정하는 기준 3438
1227 2009-02-24 갖고 싶은 것이 있으면 덕으로 빼앗아라! 3285
1226 2009-02-23 “빛이다. 그렇지?” 3200
1225 2009-02-20 말 속의 뜻 3486
1224 2009-02-19 최선의 복수 3418
1223 2009-02-18 당신이 부러워하는 사람들 3449
1222 2009-02-17 그분이 홀로서 가듯 3255
» 2009-02-16 "마부를 풀어 주시오!" 3296
1220 2009-02-13 나는 피해자인가 3589
1219 2009-02-12 창의력 3429
1218 2009-02-11 시인이란 3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