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애인(愛人)

by 마을지기 posted Jan 20, 2009
Extra Form
보일날 2009-04-23
출처 오강남, 《움겨쥔 손을 펴라》((주)위즈덤하우스, 2008), 140-11쪽
책본문 현대 중국말로 남편이나 아내를 서로 '애인'(愛人, Ai Ren, 아이 런)이라고 한다. 부부는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재미있는 대조다. 한국말의 경우, '애인'이란 결혼 관계에 있지 않으면서 사랑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이다. […]

한국 부부들은 왜 서로를 '사랑하는 이'로 생각하지 못할까? 분명 깊은 뜻이 있을 터. 사실 가만히 따져보면 '사랑한다'고 하는 것은 아직도 상대방을 대상으로, 목적어로 의식할 때만 가능한 말이라는 것이 분명해진다. 아직 나와 너,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다. 너와 내가 그대로 하나가 된 완전 합일의 경지에서는 사랑이나 미움의 대상이 따로 없기 때문에 사랑이나 미움이라고 하는 것이 끼어들 틈이 없다. 자기 남편이나 부인을 사랑하는 이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처럼 '그대와 내가' 서로 사랑할 대상으로 떨어져 있는 이원적 세계를 초월해서 일심동체가 되어 있다는 뜻일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우리'라는 말을 쓰기를 좋아했습니다.
'우리 집' '우리 학교' '우리 동네'
심지어 아내도 '우리 집 사람'입니다.

이것은 '나'와 '네'가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하나라고 하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우리'는 좀 큰 우리인 '마을'과, 더 큰 우리인
'하늘'까지 품을 수 있는 심성을 가졌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097 2008-07-02 개안(開眼) 3302
1096 2006-02-25 목사님의 아들 3302
1095 2009-04-02 마주 보고 대화하라! 3301
1094 2009-02-03 호의(好意) 3301
1093 2008-09-17 나의 부재를 애통해하는 사람은? 3301
1092 2008-04-25 창의적인 사람들의 가정환경 3298
1091 2008-04-11 정치폭력의 역학 3297
1090 2009-02-16 "마부를 풀어 주시오!" 3296
1089 2008-01-28 현상과 본체 3296
1088 2006-05-24 창의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3294
1087 2009-07-08 수천년 하나가 되어 온 사람들 3293
» 2009-04-23 애인(愛人) 3293
1085 2005-02-07 불평은 조금만, 칭찬은 많이 3291
1084 2008-06-03 “내 말에 속지 마라” 3290
1083 2008-05-30 “그는 환자가 아니다” 3289
1082 2008-04-07 세익스피어 3288
1081 2006-06-07 지레짐작은 위험하다! 3288
1080 2005-12-05 여우는 자신을 소중히 여긴다 3287
1079 2006-04-07 신발을 신는 것은 3286
1078 2009-02-24 갖고 싶은 것이 있으면 덕으로 빼앗아라! 3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