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몸의 건강, 마음의 건강

by 마을지기 posted Feb 16, 2006
Extra Form
보일날 2009-05-06
출처 송기원, 《靑山》((주)창작과비평사, 1997), 262쪽
책본문 “병에 대해서도 사람들은 흔히 몸과 마음을 떼놓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대개가 몸이 병든 것으로 믿지만, 그러나 모든 병은 대개가 몸보다는 우선 마음에 먼저 그 원인이 있는 게야. 자, 어디 한번 네 몸의 오장육부를 살펴 보거라. 먼저 마음이 병에 들면 그에 따라 반드시 오장육부가 병이 들게 된다. 네가 불쾌한 마음을 가지면 우선 왼쪽 허파와 큰창자가 약해지고, 슬퍼하고 어지러운 생각을 하게 되면 오른쪽 허파와 신경이 약해지고, 놀라거나 두려워하게 되면 콩팥과 오줌통이 약해지고, 너무 생각을 많이 하다 보면 밥통과 지라가 약해지고, 화를 내거나 노여워하면 간과 쓸개가 약해진다. 그런가 하면 너무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즐거워해도 염통과 작은창자가 약해지는 것이다. 한편 콩팥이 튼튼하면 지혜를 담는 그릇이 되니 넓고 너그러운 뜻이 있고, 염통이 튼튼하면 사물을 판가름하는 힘이 커지니 잘잘못을 분별하는 뜻이 있고, 간이 튼튼하면 생신한 기운을 돌리니 어질고 착한 것을 취하여 쓰는 뜻이 있고, 허파가 튼튼하면 나쁜 것을 버리고 좋은 것을 거두어들이니 의로운 뜻이 있는 게다.”
사용처 1. 20150607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
우리의 몸과 마음은 따로 놀지 않고,
언제나 같이 움직입니다.
마음에 상처를 입으면, 내장 어딘가에
반드시 이상이 오게 되어 있습니다.

어쩔 수 없이 화를 내더라도 그 분노를
잠자리에까지는 가지고 가지 말아야 합니다.
기뻐할 일이 없으면 최선을 다해서
기뻐할 일을 찾는 데 힘써야 합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277 2005-10-25 숲으로 가자 2462
1276 2005-03-21 모성과 부성 2465
1275 2004-09-06 성실 앞에는 적이 없다 2466
1274 2004-02-08 이런 일을 보았나 2468
1273 2005-10-17 두 부류의 사람들 2468
1272 2004-02-01 앞통수 관광 2469
1271 2004-09-16 대화의 규칙 제 1조 2472
1270 2005-10-10 "잘들 있어라" 2474
1269 2005-10-19 다빈치의 모델 2475
1268 2005-10-31 나는 그를 버릴 수 없다 2476
1267 2005-02-11 베푼다는 것은 2477
1266 2005-10-12 그림을 완성하자 2477
1265 2005-02-22 패러다임(paradigm) 2479
1264 2005-11-14 프란치스꼬를 존경하는 사람 2480
1263 2005-01-19 성공하기 위하여 존재하는가? 2480
1262 2004-07-21 미소는 주인됨의 표시입니다 2483
1261 2004-10-16 미소의 언어 2487
1260 2004-10-04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을 때 2489
1259 2005-01-17 부질없는 목표는 과감히 포기하라 2489
1258 2005-05-30 현장으로 나갑시다 24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