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한 인디언의 편지

by 마을지기 posted Sep 02, 2009
Extra Form
보일날 2010-02-09
출처 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돌베개, 2008), 132쪽
책본문 며칠 전에는 1885년에 아메리카의 한 인디언이 미국 정부에 보낸 편지를 읽었습니다. 그 속에는 이런 구절들이 있습니다.

"당신(백인)들은 어떻게 하늘을, 땅의 체온을 매매할 수 있습니까."

"우리가 땅을 팔지 않겠다면 당신들은 총을 가지고 올 것입니다. …그러나 신선한 공기와 반짝이는 물은 기실 우리의 소유가 아닙니다."

"갓난아기가 엄마의 심장의 고동소리를 사랑하듯 우리는 땅을 사랑합니다."

어머니를 팔 수 없다고 하는 이 인디언의 생각을, 사유와 매매와 소비의 대상으로 모든 것을 인식하는 백인들의 사고방식과 나란히 놓을 때 거기 '문명'의 치부가 선연히 드러납니다.

또 다음과 같은 구절도 있습니다.

"땅으로부터 자기들이 필요하다면 무엇이나 가져가버리는 백인들은 (땅에 대한) 이방인입니다."

"당신네 도시의 모습은 우리 인디언의 모습을 아프게 합니다."
사용처 1. 20100804 노자왈 소자왈(34장).
2. 20110425 이야기마을 웃음샘.
땅을 어머니라고 생각하는 것이
인디언들만의 진리는 아닐 것입니다.
우리를 낳아주신 어머니를 팔 수 없는 한
우리의 터전인 땅도 사고 팔 수 없습니다.

자본주의에서는 개인의 편의를 위해서
땅의 점유권을 인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선진국이라면 땅을 매매해서 얻는 이익은
어떤 방식으로든 공익을 위해 써야 합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97 2006-04-18 4월은 갈아엎는 달 2991
96 2009-04-17 4월 19일 3442
95 2009-08-24 4S 정책 3892
94 2008-07-17 49재 3018
93 2004-03-01 3월의 하늘 2543
92 2004-03-02 3월에는 2080
91 2005-07-22 30초의 여유 2682
90 2010-05-18 30년 전 광주 시민들 5143
89 2005-01-15 1월 15일 2697
88 2003-08-29 1910년 8월 29일 2046
87 2003-12-02 12월의 엽서 2223
86 2005-12-31 12월에 우리는 2988
85 2010-12-27 12월! 4321
84 2010-12-21 12라는 숫자 4348
83 2005-07-30 10년 차이 2821
82 2006-05-26 100 가지 소원 3402
81 2010-12-01 "한 해가 그렇게 간다는 것은" 4798
80 2008-12-23 "파우스트가 뭐죠?" 2760
79 2009-10-26 "타인병작(他人竝作) 못하리라!" 3168
78 2009-07-22 "칼은 속수무책이었다!" 34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