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우리 며느리가 신식 음식을 했어!"

by 마을지기 posted Jul 20, 2010
Extra Form
보일날 2011-02-07
출처 이어령외20인, 《어머니》(자유문학사, 1996), 129-130쪽
책본문 신혼 시절이었다. 아내가 하루는 카레라이스를 했다. 아내딴에는 신식 며느리의 면모를 확실히 보일 셈으로 온갖 정성을 다해 카레를 만들었는데, 어머니는 단번에 퇴짜를 놓았다.

― 이 돼지죽, 너나 먹어라!

어머니는 탁 숟가락을 놓았다. 역시 투가리 깨지는 소리에 찬바람이 휙 도는 표정이었다. 아내는 어찌할 바를 몰라 사색이 되었다. 그때 이웃집 할머니 한 분이 마실을 왔다. 문 밖에 인기척이 들리자마자 어머니는 아주 재빨리 놓았던 숟가락을 다시 집었다. 표정 또한 그렇게 빨리, 완벽하게 바꿀 수가 없었다. 어머니는 너무나 행복한 노인네처럼 웃음을 활짝 짓고 나서 밥그릇에 카레를 듬뿍 얹었다.

― 우리 며느리가 신식 음식을 했어.

(박범신)
박범신 선생님의 이야기니까
적어도 수십 년 전의 이야기이고,
시어머니의 서슬이 시퍼렇던 시절이니
부인께서 진땀을 흘리셨겠습니다.

많은 시어머니들은 며느리에 대해
집안에서는 인상이 굳어 있어도
밖에 나가면 칭찬을 많이 하시지요.
자신의 '체면' 문제이기 때문일 겁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77 2004-12-31 한 해의 마지막 날 3356
76 2003-12-01 한국의 사회귀족은 누구인가? 2352
75 2010-05-27 한국전쟁 직전의 분위기 5134
74 2006-06-14 한낮의 기도 3648
73 2005-04-26 한민족은 약소민족인가? 2687
72 2004-03-13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2227
71 2006-01-18 함께 머무는 가족 3150
70 2003-10-16 함께 먹기 1864
69 2008-07-16 함께 서라! 3131
68 2006-01-09 함께 아름다움을 창조하라 3213
67 2004-03-14 함부로 나대는 것, 함부로 뉘우치는 것 2231
66 2004-10-02 항상 마지막인 듯이 2809
65 2006-03-28 해가 질 때까지 기다리지 마라 2882
64 2006-01-05 해몽 3200
63 2010-04-08 행동함에 있어서 4814
62 2004-01-31 행복에 닿으려면 2312
61 2004-10-07 행복에 이르는 방법 2341
60 2005-01-08 행복에 익숙한 사람 3017
59 2008-12-05 행복으로 바뀐 고통 3254
58 2004-07-07 행복은 귀신 같이 찾아온다 25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