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엿 먹어라"가 욕이 된 이유

by 마을지기 posted Jul 19, 2004
Extra Form
보일날 2004-07-20
실린날 2002-04-09
출처 들은이야기
원문 ⇒질문

엿을 먹다가 생긴 의문인데요. 어떻게 해서 "엿 먹어"라는 말이 욕이 되었을까요?

⇒답변

"엿 먹어라"가 욕이 된 진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964년 12월 7일 전기 중학 입시의 공동출제 선다형 문제 가운데 '엿기름 대신 넣어서 엿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었답니다. 당시 정답으로 채점된 것은 디아스타제였지만 보기 중 하나였던 '무즙'도 답이 된다는 것이 이 사건의 발단이었죠. 사실 우리가 먹는 음식 중에 엿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다른 번호를 답이라 기표한 학생들의 학부모들은 난리가 났습니다. 급기야 무즙을 답으로 써서 낙방한 학생의 학부모들은 이 문제를 법원에 제소하였고, 어머니들은 항의가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자, 급기야 '무'로 엿을 만들어 대입과 관련된 모든 기관(문교부, 교육청, 대학 등등)에 찾아가 엿을 들이밀었죠. 무즙으로 만든 엿을 먹어보라고 하면서 솥째 들고 나와 시위를 벌인 겁니다.

그 때나 지금이나 우리 어머님들의 교육열(?), 치맛바람은 대단한 것이죠.

"엿 먹어! 이게 무로 쑨 엿이야, 빨리 나와 엿 먹어라! 엿 먹어라! 엿 먹어라!"

이 엿 사건은 장안에 엄청 화제가 된 사건입니다. 요즘 말로 짱 엽기적인 사건이었죠. 결국 김규원 당시 서울시 교육감, 한상봉 차관 등이 사표를 내고 6개월이 지나 무즙을 답으로 써서 떨어진 학생 38명을 정원에 관계없이 경기중학 등에 입학시켜 수습됐지만 갈팡질팡한 입시제도와 치맛바람이 어울려 유례없는 입시 혼돈이 빚어진 사건이었습니다.

결국 엿 사건은 인구에 회자되다가 끝내 욕설이 되어 남았습니다. 거짓말 같죠? 진짜, 정말이에요. 시간 되면 60~70년대 신문들을 뒤져보세요.
요즘은 그리 흔치 않습니다만
예전에는 꽤나 유행했던 욕입니다.
이 욕, "엿 먹어라!"의 유래에 대해서
몇몇 다른 버전이 있기는 합니다만...
이 말이 이 때 처음으로 욕이 된 건지,
그 동안 욕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이 때에 비로소 유명한 욕이 되었는지
연구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야기마을 웃음샘

전대환의 유머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358 2008-05-01 정치란? 2970
1357 2008-10-21 정치가와 비둘기 2708
1356 2010-07-06 정직하게 사는 사람 5197
1355 2009-02-17 정의의 승리 3510
1354 2008-03-24 정액을 왜 샀니? 3552
1353 2008-05-27 정신없는 여자 3028
1352 2006-01-21 정신과 주치의 3608
1351 2006-04-13 정신과 감정 4261
1350 2008-12-10 정상인과 비정상인 2971
1349 2009-08-17 정말 몰랐을까? 3172
1348 2006-12-27 정략결혼 2982
1347 2006-06-16 정년퇴직 후 4678
1346 2004-06-19 점 보러간 사내 3049
1345 2009-10-15 젊은 부부 3252
1344 2004-06-28 젊어보이는 옷 2875
1343 2005-06-28 절세가인(絶世佳人) 3248
1342 2009-11-04 절교의 이유 3641
1341 2009-08-28 전화위복 3473
1340 2004-05-27 전파 견문록 기출문제 2431
1339 2003-08-13 전철에서 22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