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글쓴날 2009-06-29 
실린곳 이야기나라 

한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는 장면.
맨 위의 사진은 2008년, 한일정상회담.
두 번째 사진은 2009년, 한일정상회담.
마지막 사진은 2004년, 한일정상회담.

문제는 각 정상이 사용하는 연탁 앞에 있는 문장.
이 문장은 큼직한 오동잎이 아래로 세 갈래,
그 위에 오동꽃 세 송이가 나란히 솟아 있는 형상인데.
세 송이 꽃 중 가운데 꽃은 꽃잎을 모두 7장,
양 옆의 꽃들은 각각 5장씩 달고 있다.
계성종이역사박물관의 조형균 관장은
이 문양이, "400여년 전 임진왜란을 일으켜 온 조선을 초토화하고
수많은 인명 살상과 문화재 약탈을 하고 심지어는
코까지 베어다가 소금에 절여 가져갔던
풍신수길(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문장"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2008.6.10 한겨레 보도).
일제는 그 문장을 조선총독부 문장으로 사용하였고
지금은 일본 총리실 문장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

조형균 관장은 작년 한일정상회담 후, 이렇게 지적했다.
"예전 한국 대통령 방일 때는 기자회견장 연단에
그 마크가 등장한 적은 없었습니다."
다른 행사 때는 몰라도, 우리 대통령이 갔을 때는
그것을 사용해선 안 된다는 게 조 관장의 생각.

그런데 일본은 왜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그 문장을 보란듯이 내놓고 사용하고 있을까.

 

1246217090_20090629-01.jpg

 

'전대환의 토막 생각'을 시작하며
639 빚낸 돈은 다 어디다가 썼을까?
638 나경원 향한 압박
637 한기총은 개신교 대표단체가 아니다.
636 마구 던지는 민경욱
635 삭발?
634 한국당 ‘김원봉 논란’ 말할 자격 있나
633 공짜 돈으로 일본 여행?
632 최경환 유죄 확정
631 나경원, 일본엔 나긋나긋
630 박근혜정부 3년간 늘어난 국가부채
629 내가 자주 가는 우리 동네 이발소
628 일본엔 부드러운 유승민
627 일본 가서 찍은 사진?
626 이 시점에 제왕적 대통령제 타령하는 문희상
625 서화숙의 위험한 생각
624 가짜 목사 최성해
623 검찰 집단사표 환영
622 수출규제의 최대 피해자는 일본
621 조경태
620 지혜로운 한국인들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