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한국의 사회귀족은 누구인가?

by 마을지기 posted Nov 22, 2003
Extra Form
보일날 2003-12-01
출처 홍세화,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한겨레신문사, 2003), 28-29쪽
책본문 그러면 오늘날 한국의 사회귀족은 누구인가? 이 질문은 당연하다. 우선 알기 쉽게 우리가 흔히 '사회명사' 또는 '사회 지도층'이라 부르는 사람들, 그래서 <조선일보>에는 물론 <한겨레>에도 매일 작은 사진과 함께 동정(動靜)란에 소개되는 사람들을 말한다고 치자...

그런데 부음 란은 한국의 '사회귀족'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아주 좋은 단서를 제공해준다. 설령 사망자 자신은 사회귀족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자식이 사회귀족일 때 부음란에 실린다는 것, 귀족 중에서도 당하관일 때보다 당상관일 때에 더욱 큼직하게 실린다는 사실이다.
사용처 NULL
"사회 지도층"이라 하니까 어떤 사람이 이렇게 말하네요.

'사회지도층'이라고? 얼어죽을! 지금까지 사람들에게 무얼 '지도'했는데? '기드꿘 조아, 다른 건 다 실여실여!' ─ 딴지일보 ─

'노블리스 오블리제'라 하여
이른바 선진국의 신흥귀족들은
최소한 사회적 의무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떤가요?
틈만 나면 의무를 회피하려 하고
그걸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더 무서운 것은
'나도 돈 있으면 저렇게 할 거다'
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는 겁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617 2004-10-26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도와주기 1895
1616 2003-11-29 외딴 마을의 빈집이 되고 싶다 1902
1615 2003-12-19 포옹을 하면 1902
1614 2003-10-17 기다림은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 1904
1613 2003-11-19 적당할 때 멈추는 것 1904
1612 2003-08-23 부모님의 허물도 감사한 일 1906
1611 2003-10-26 나를 키우는 말 1906
1610 2003-08-10 매일 아침 눈을 뜰 때마다 1908
1609 2003-10-28 한 마음의 상처를 잊게 할 수 있다면 1913
1608 2004-07-08 평생에 세 번 목욕하는 사람들 1921
1607 2003-12-07 꿈을 이루려는 사람의 고통 1924
1606 2003-08-02 둘 다 1927
1605 2003-08-03 학자 1928
1604 2003-12-31 사람의 주파수 1937
1603 2003-09-28 홀로 견디는 것은 1942
1602 2003-10-21 세상 사람들을 몰래 돕는 일 1949
1601 2004-03-30 가난한 사람들을 아십니까? 1950
1600 2004-01-21 세계 인구의 절반인 여성들은 1951
1599 2003-11-02 아버지의 방 1952
1598 2003-11-21 결혼 19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