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첫날밤 신랑신부의 노래

by 마을지기 posted Jul 16, 2004
Extra Form
보일날 2004-09-30
출처 유안진, 《딸아 딸아 연지 딸아》(문학동네, 2003), 125쪽
책본문 청포대하 자신노(靑袍帶下 紫腎怒)
홍상고중 백합소(紅裳袴中 白蛤笑)

가난한 양반 총각이 가난에 못 이겨 상민 부잣집으로 장가를 들었다. 가난하다 하여 신부가 가볍게 여길 것을 염려한 신랑은 글로써 신부의 기를 죽여 다홍치마 적에 잡아두려 했다. 그래서 신방에서 시를 지을 테니 대구(對句)를 하라고 신부에게 요구하고는 "청포대하 자신노요" 하자, 신부가 얼른 "홍상고중 백합소요" 라고 대구하지 않는가.
사용처 NULL
신랑의 말은 이런 뜻입니다.
"신랑의 푸른 도포 밑에서
붉은 신(콩팥)이 잔뜩 성을 내오."
그랬더니 신부의 대답이 걸작입니다.
"붉은 치마 속의 속곳 속에서
흰 조갑지가 웃고 있습니다."

함부로 이런 글을 인용해 싣는다고
외설(猥褻) 시비에 휘말릴지는 모르겠지만,
참 격이 있는 신랑신부의 대화입니다.
이제 부부가 되어 다 벗고 보면
가난한 집과 부잣집 출신이 어떻게 표가 나며
양반과 상민이 어디에 다름이 있겠습니까?
오로지 사람만 남을 뿐입니다.
옷과 옷의 대화는 가능한 한 줄이고
사람과 사람이 만나도록 힘써야겠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397 2008-10-31 인간의 육체 2970
396 2004-03-11 인간이 사는 곳 2265
395 2009-08-31 인간이 흘리는 고귀한 액체 3230
394 2008-09-16 인격의 척도 3284
393 2004-01-30 인과응보의 수지타산 2087
392 2006-02-04 인도 사람들의 제사 3015
391 2005-07-12 인도인 프로그래머가 많은 이유 3079
390 2007-12-26 인디언 기도문 2902
389 2008-06-18 인디언들이 도태된 이유 3335
388 2004-08-04 인생 지우개 2405
387 2008-11-19 인생은 말에 달려 있다 2633
386 2005-12-03 인생은 무엇인가? 3485
385 2010-01-12 인생을 즐기려면 4387
384 2005-11-16 인생의 성공 2900
383 2003-08-15 인생의 일곱 단계 1886
382 2009-08-27 인생의 주로(走路) 3361
381 2010-02-24 인생의 즐거움이란 4897
380 2004-12-17 인생의 진정한 가치 2918
379 2011-05-24 인생의 행복과 건강 13783
378 2004-06-02 인생이 항상 공정하지만은 않다 2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