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자연의 경고

by 마을지기 posted Mar 30,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5-03-31
출처 해럴드 쿠시너(송정희 역), 《선한 사람들에게 왜 불행이 오는가》(중앙일보사, 1995), 103쪽
책본문 우리는 집을 수 없는 것을 집으려고 무리하게 근육을 늘이면 고통을 느낀다. 또 우리는 고통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무언가 뜨거운 것에 손이 닿으면 데기 전에 손을 홱 움츠린다. 우리는 기적이라 할 만큼 정교한 기계인 우리 몸의 무언가가 잘못 되었다는 신호로 고통을 느낀다.

우리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우리를 때리던 것을 기억하고 고통을 하느님이 우리에게 벌을 주는 것으로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 아니면 우리가 겪는 불쾌한 것들은 모두 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고통 역시 하느님이 내리는 벌로 생각하는 것일 수도 있다.

사실상 '고통'(pain)이라는 말은 '처벌' 또는 형벌'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포에나'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러나 고통은 하느님이 우리에게 내리는 벌이 아니다. 그것은 착한 사람이나 악한 사람이나 간에 무언가가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연의 경고 방법이다.
어린 아들을 질병으로 잃은
해럴드 쿠시너 목사님의 글입니다.
우리가 불행이라고 생각하는 것들,
우리가 고통스럽다고 생각하는 것들,
이 모든 것들을 깨달음을 위한
경고라고 생각하면 어떨지요?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317 2009-07-01 아내의 조언 3806
1316 2009-06-30 끌어당김의 법칙 3732
1315 2009-06-29 땅의 문 3638
1314 2009-06-26 매력 3832
1313 2009-06-25 전쟁 3797
1312 2009-06-24 부도덕한 법률에 대한 저항 3599
1311 2009-06-23 은덕을 잊지 않는 것 3691
1310 2009-06-22 숲이 주는 고마움 3931
1309 2009-06-19 변(便)과 분(糞) 3864
1308 2009-06-18 꾸밈 없는 당당함 3647
1307 2009-06-17 마음아 너는 어이 3987
1306 2009-06-16 증거 3760
1305 2009-06-15 외나무다리에서 3555
1304 2009-06-12 나의 실수, 남의 실수 3690
1303 2009-06-11 허공보다 깨끗한 마음 3625
1302 2009-06-10 정교분리 윈칙 3586
1301 2009-06-09 서울로 올라간 수군 3690
1300 2009-06-08 말만 잘 간직하고 있으면 3411
1299 2009-06-05 싱싱한 가족 3554
1298 2009-06-04 독재자와 노예의 협조관계 34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