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어찌 나를 이길 수 있겠느냐"

by 마을지기 posted May 30,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5-06-14
출처 정병헌 이지영 편, 《우리 선비들은 사랑과 우정을 어떻게 나누었을까》(사군자, 2005), 73쪽
책본문 유생(兪生) 아무개가 있었다. 나이는 40세를 넘겼는데 아무런 이름도 이루지 못하고 뜻을 이루지 못해 항상 우울했다.

하루는 그가 외출했다가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을 만났다. 벽제(僻除) 소리를 내며 자기 쪽으로 오는 것을 보니 시종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유생은 어쩔 줄을 몰라 몸을 담장 밑에 숨기고 행차를 가만히 바라보았다. 그런데 그 귀인은 젊었을 때의 자기 친구였다. 그가 탄식하며 말했다.

"나와 저는 다 같은 문벌에서 태어났는데 재덕(才德)과 명위(名位)가 왜 이렇게 다르단 말인가. 저 사람은 저렇듯이 영화롭게 되고, 나는 이렇게 궁하게 지낸단 말인가."

그는 분함을 참지 못하고 한참 있더니, 자기 분을 풀면서 이렇게 스스로 위안하였다.

"그러나 지금 세상에 아내 사랑하기를 나만큼 하는 자는 아마 없을 것이다. 제가 아무리 벼슬이 높다고 하겠지만, 제 아내를 사랑하는 것이 어찌 나를 이길 수 있겠느냐."

이 말을 듣는 사람들이 허리를 잡고 웃었다.

-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 권 16, 〈언어부〉(言語部)에 실려 있는 이야기 -
사용처 1. 20080608 일 구미안디옥교회 주일예배.
1. 20101027 미즈내일.
옛날 사람들이, 남자가
아내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면
팔불출이라 해서 웃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비들이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을
말하기를 즐겼으니
겉으로만 그런 셈입니다.

그런데 여기 나오는 유 선생의 말이
자기 아내를 사랑하는 데 일등인지,
출세한 친구의 아내를 사랑하는 데 일등인지
그게 분명치 않아 사람들이 웃었을 겁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457 2004-02-04 작은 지혜, 큰 지혜 2543
456 2005-11-11 말에 대한 다짐 2543
455 2005-08-25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라 2542
» 2005-06-14 "어찌 나를 이길 수 있겠느냐" 2541
453 2005-05-13 작업복 2538
452 2004-07-24 제발 지금 당장 하라 2537
451 2005-03-14 "많이 아프지는 않은가봐" 2535
450 2004-12-08 과다한 대접 2535
449 2005-01-26 성공의 법칙 2534
448 2005-05-18 규칙, 그 본연의 자세 2533
447 2005-08-19 말끔히 씻으리라 2531
446 2005-06-27 세상을 맑게 하는 마음 2531
445 2005-02-17 귀한 보물은 길거리에서 팔지 않는다 2530
444 2005-05-24 우리의 마음이 충분히 크다면 2529
443 2005-01-31 무엇을 나눌 것인가 2529
442 2004-07-07 행복은 귀신 같이 찾아온다 2526
441 2005-11-22 모든 것을 사랑하라 2525
440 2004-05-03 오월은 그렇게 서정적으로 오지 않았다 2524
439 2005-05-12 질문 2522
438 2005-08-11 자본주의 경제의 속성 25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