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지식의 습득이란?

by 마을지기 posted Oct 13,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5-10-14
출처 마사 베크(박영원 역), 《여유의 기술》(도서출판열림원, 2005), 52쪽
책본문 중국의 철학자 장자가 시적으로 표현해 놓은 것이 있다.

“지난밤에 나는 나비가 되는 꿈을 꾸었다. 그러나 오늘은 나비가 되는 꿈을 꾼 사람이 나인지, 아니면 내가 지금 인간이 되는 꿈을 꾸는 나비인지 알 수 없다.”

중요한 것은 100퍼센트 확실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음의 두 가지만은 확실하게 얘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믿든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사실. 즉, “절대적인 진리를 모른다” 또는 “알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나면 좀 찜찜할 수는 있겠지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자유로워질 것이다. 이것이 바로 플라톤이 “지식의 습득이란 우리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는 과정이다”라고 말한 이유이다.
사용처 1. 20051016 안디옥교회 주일예배.
진정한 지식은 사람을
자유롭게 해주어야 합니다.
지식을 얻은 것이 오히려 짐이 된다면
그것은 헛된 지식입니다.

현대인들은 점점 더 바빠져 갑니다.
익혀야 할 것도 날이 갈수록 많아집니다.
이렇게 사는 것이 참으로 행복한 것인지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겠습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417 2010-11-30 "무얼 더 보태겠다시는가?" 4236
1416 2006-12-28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 4216
1415 2010-12-28 어머님께 바라는 것 4201
1414 2010-01-05 좋은 것과 나쁜 것 4201
1413 2007-02-01 신이 창조한 세계 4195
1412 2009-12-28 무릎 꿇은 자작나무 4191
1411 2010-12-22 예수와 마리아를 새롭게 만나다 4186
1410 2009-12-31 당신의 적을 축복하고 찬양하라! 4163
1409 2009-12-24 성탄절의 촛불 4127
1408 2007-02-14 어리석음으로 세상 바꾸기 4109
1407 2010-01-21 질문을 던져라! 4092
1406 2007-10-15 런치메이트 증후군 4087
1405 2009-12-11 서로 다른 종소리 4085
1404 2007-03-07 다른 사람들은 다 즐거울까? 4067
1403 2009-12-16 김칫독 4060
1402 2009-12-29 조각보 4029
1401 2009-02-26 거상 임상옥 4007
1400 2009-06-17 마음아 너는 어이 3987
1399 2009-12-18 그리움 하나 3972
1398 2009-12-15 이불 39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