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실린 곳 문성모, '김정준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사람들은 병을 얻으면 반드시 죽는 것만은 아니다. 나는 병을 얻어서 오히려 절망에서 새로운 힘과 삶을 얻었기때문에 '삶에 이르는 병'이라고 했다."

우리나라 구약학계의 수장 김정준 박사의 글이다.

그는 중학교 3학년 때에 폐결핵에 걸렸다. 결핵을 지닌 채 그는 학교를 다녔고 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 생활 3년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중증 결핵의 판단을 받고 마산결핵요양소에 입소했다.

그는 요양소에 들어가서 자기가 죽을병에 걸렸다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그것은 간호원들이 자기를 다른 환자들과 구분해서 6급 환자 병동에 넣었기 때문이다. 이 병동은 별명이 공동묘지 병실이라고 붙은 병동이었고 죽을 날만 기다리는 환자들만 수용하는 병실이었다.

김박사에게 의사들은 3달을 넘기지못할 것이라고 쑤근댔다. 더구나 그는 장결핵까지 앓았기 때문에 먹는 것은 다 아래로 쏟아 버렸다. 결핵은 영양을 섭취해야 하는데도... 이 꼴이 하도 딱해서 종군목사 한 사람이 영양 보충하라고 햄 쏘시지를 갖다 준 것을 먹고 위경련이 나서 아사지경에 이르게 된 일도 있다. 부패된 쏘시지였던 것이다.

그는 유서를 써 놓고 죽을 날을기다렸다. 더구나 죽음을 재촉하는 것은 6급 공동묘지 병동에 있는 자신에 대한 가족들과 의사 간호원의 차가운 시선과 대우였다. 김 목사에게는 이것이 더 미칠것 같았다. 이것은 생명이 3개월 밖에 안 남았다는 것보다 더 괴로운 일이었다.

이 때 그는 대단한 결심을 했다. '나의 생명을 주심도 하나님이요 가져가심도 하나님이니 의사가 내린 시한인 3개월을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시한으로 살아야겠다'는 강한 결심을 했다.

그는 그 때부터 죽기 전까지 남을 위해서 할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했다. 자기가 할 수 있는일은 죽어 가는 사람을 위해서 변기 통을 집어 준다거나 음식을 먹여 준다거나, 물수건을 건네 주는 일 등이었다. 죽어 가는 17세 소녀의 변기를 갖다주고 뒤 본 것도치워주는 일을 했다. 일어나지도 못하는 소녀가 악을 쓰며 간호원을 불러도 간호원이 오지 않으니 이 일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이 일이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다고 했다. 자기 몸도 움직일 힘이 없는데, 죽을 사람이 이 일을 했던 것이다.

이 봉사 외에 하루에 세 번씩 성경을 읽고 해석해 주었다. 의사들은 하루라도 더 살려면 힘을 아끼라고 경고를 했단다. 그러나 김 목사는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죽는 것은 마찬가지니 신경 쓰지 않았다.

그는 자기가 가장 중태였을때 삶과 죽음의 의미를 더 잘 깨달을 수 있었다. 그는 그 동안 20명의 장례식을 집도했다. 운명한 자의 시신을 치우고, 거들기를 수십 차례, 그 일을 하면서 이미 사형선고의 3개월 넘어가고 있었다.

그의 병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 아니었다. 그는 그 병으로 인해 살게 되었다. 보통 사람의 폐활량이 4000-3500cc인데 그는 1000cc으로 살았다.

그는 퇴원 후 1000cc의 폐활량으로 카나다 유학, 교수, 교환교수 등을 거쳐 번역서 10권, 자기가 쓴 책 12권을 냈다.

[위의 글은 어떤 인터넷 사이트에 게재된 글을 편집한 것입니다.]

------------------------------

[아래의 글은 문성모 교수가 쓴 '김정준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그는 1914년 11월 6일 경남 동래군 구포에.서 태어났다. 기독교 가정에서 자란 그는 1935년 평양 숭실대를 졸업하였고, 1939년 연희전문학교를 2년 수료한 후 도쿄 아오야마 학원 신학부에 진학하여 1943년에 졸업하였다. 그는 귀국 후 경동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경주 구정교회를 거쳐 김천 황금동교회에서 목회하던 중 결핵으로 마산 국립요양원에 입원하게 된다. 의사의 사형선고가 내려진 가운데 힘겨운 2년 반의 투병생활 속에서도 그는 시편 탐독에 시간을 보냈으며 요양원 교회를 스스로 설립하여 목회를 계속하였다. 1948년 건강을 회복하고 1949년부터는 한국신학대학의 교수로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였다. 1952년 그는 캐나다 토론토 빅토리아 대학으로 유학하여 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배로 귀국하는 도중에 풍랑을 만나 다시 한 번 죽음의 고비를 맞게 되었지만 살아나 다시 한국신학대학 교단과 성남교회 강단에 서게 되었다. 그 후 1958년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대학에 유학하여 박사가 되었고 귀국 후 1960년부터 한국신학대학 학장으로 봉직했고, 1963년 후에는 연세대학교 교목실장, 연합신학대학원 원장, 연세대학교회 목사로 일하다가 1970년 다시 한국신학대학 학장으로 초빙되었다. 1981년 67세를 일기로 하나님의 부름을 받을 때까지 그는 한국의 신학계와 교회를 위한 많은 저서를 내고 활동을 하였다. 특별히 그는 시편연구에 많은 애착을 가졌고 자작시도 많이 남겼다. 한국신학연구소는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총 8권의 "만수 김정준 전집"을 내었는데 빠진 글들이 많아 보충이 필요하다.

1. 20010901 Antioch.
이야기모음 사용 안내
490 기타 이야기 전도
» 기타 이야기 삶에 이르는 병
488 기타 이야기 모든 것을 다 베푼 후에
487 기타 이야기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486 기타 이야기 사랑의 씨앗
485 기타 이야기 미소
484 기타 이야기 수염이 자라는 한
483 기타 이야기 진품과 모조품
482 기타 이야기 세가지 좋은 유산
481 기타 이야기 유형별 배우자 전도
480 기타 이야기 서로의 눈과 손과 발
479 기타 이야기 거짓말의 여러 유형
478 기타 이야기 "난 자네 때문에 세 번 울었네"
477 기타 이야기 테너 도밍고의 성공
476 기타 이야기 두 가지 국가를 함께 부르는 나라
475 기타 이야기 착각
474 기타 이야기 제 임무를 다 했습니다
473 기타 이야기 예수의 건강비결
472 기타 이야기 신앙의 용기
471 기타 이야기 약한 자와 건강한 자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