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풀꾹새

by 마을지기 posted May 10, 2008
Extra Form
보일날 2008-06-04
출처 조정래, 《태백산맥 8》(한길사, 1989), 291-292쪽
책본문 어디서인가 풀꾹새가 애절한 목태움으로 울고 있었다. 강파른 보릿고개를 이기지 못하고 죽은 어린 자식들을 뒤따라 죽은 과부의 넋이 이 산골 저 산골을 자식들 찾아헤매며 우는 목쉰 울음이라고도 했고, 첫날밤 정을 나누고 과거를 보러 떠난 임이 아무 소식도 없이 몇 해를 돌아오지 않아 기다림에 지쳐 죽은 여인의 넋이 임을 찾아 그리도 섧게 운다고도 했다. 너무 울어 목에서 피를 토하고, 제 피를 되마셔 목을 축이며 또 운다는 목쉰 피울음은 보릿고개 속 아리는 밤마다 지칠 줄을 몰라 풀꾹새는 사월이 다 가도록 섧고 섧게 울었다. 그런데, 새 한 마리를 두고 만들어진 두 가지 이야기는 그 내용에서 너무나 차이가 많았다. 하나는 배고파서 죽은 사연이고, 하나는 임 그리워 죽은 사연이었다. 배고픈 농민들이 지어낸 이야기와 배부른 양반들이 지어낸 이야기의 차이였다.
사용처 1. 20120318 일 한울교회 주일예배 설교.
'풀꾹새'는 두견이과에 속하는 철새로서,
'뻐꾸기'의 전라도 사투리라고 합니다.
'뻐꾹 뻐꾹' 한다고 해서 뻐꾸기요,
'풀꾹 풀꾹' 한다고 해서 풀꾹새이겠지요.

같은 곳에서 같은 '풀꾹새'가 우는 소리를 듣고도
사람들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합니다.
배고픈 사람은 배고파서 죽은 사람을,
외로운 사람은 보고 싶은 그리운 임을.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577 2004-06-01 6월에는 땀을 흘리자 2517
1576 2003-12-05 8년이 지난 감동 2150
1575 2005-12-01 90%는 버려라 3185
1574 2004-09-09 9월 9일 2353
1573 2009-10-22 ‘STOP’ 도구를 사용하라! 2904
1572 2009-09-21 ‘가비지 백’(garbage bag) 3566
1571 2006-02-11 ‘구제’(救濟)란 없다 2840
1570 2004-07-09 ‘나’는 없다 2276
1569 2004-12-14 ‘더 많이’를 조심하라 2188
1568 2009-03-11 ‘부러진 날개’ 전략 3421
1567 2009-01-06 ‘소나무 송(松)’ 자의 유래 3528
1566 2006-06-12 ‘실패’를 고마워하자 3545
1565 2007-01-19 ‘아니오’라고 말하라! 3657
1564 2008-01-11 ‘악’을 없애는 법 3501
1563 2008-01-09 ‘자기암시’의 예언 3319
1562 2005-11-26 ‘통’(桶) 자 인생 2817
1561 2004-07-15 ‘환희의 송가’가 울려퍼질 때까지 2263
1560 2006-04-25 “그건 오해입니다!” 3156
1559 2008-05-30 “그는 환자가 아니다” 3289
1558 2008-05-22 “나 좀 살려줘” 33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