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출산을 앞둔 부인께

by 마을지기 posted May 30, 2005
Extra Form
보일날 2005-08-23
출처 정병헌 이지영 편, 《우리 선비들은 사랑과 우정을 어떻게 나누었을까》(사군자, 2005), 62쪽
책본문 아이들 데리고 추위에 어찌 계신고. 기별을 몰라 한 때도 잊은 적이 없으나, 안부 전하는 사람도 못 부리는 내 마음을 어디에다 비할꼬. 아이들 얼굴이 눈에 암암하여 있으니 나의 갑갑한 뜻을 누가 알꼬.

자네는 가슴 앓던 데가 이제 완전히 좋아져 계신가. 내 마음 쓰일 일이 하도 많으니 자네라도 성하면 좀 좋을까. 아버지께서 오늘 가라 내일 가라 하시되 한 번도 정하여 가라는 말씀을 아니하시니 민망함이 가이 없네. 산기(産氣)가 시작하거든 아무쪼록 부디 즉시 사람을 부리소. 밤중에 와도 즉시 갈 것이니 부디 즉시 즉시 사람을 보내소. 즉시 오면 비록 종이라도 큰 상을 줄 것이니 저들에게 이대로 일러서 즉시 즉시 즉시 보내소. 어련히 마소. 여러 날 어긋나게 되면, (자네만 고생하고) 정히 나는 고생을 아니할 것이니 소홀히 마소.
17세기 초에 경상도 현풍 소례 마을에서
가솔들을 거느리고 살았던 곽주가,
출산을 앞두고 친정에 가 있는 아내에게
보낸 편지 중 일부입니다.
조선시대를 가부장 사회라 하여
남존여비 사상만 판쳤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런 애틋한 편지도 전해 내려옵니다.

사실 조선시대에도 '부부유별'이라고 했지,
'부부차별'이라는 말은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러기에 남정네들이 사랑을 벗어나
안채를 기웃거리고 간섭하는 것을
양가에서는 엄격히 금했습니다.
남자와 여자의 영역이 따로 있었던 것입니다.

이야기마을 옹달샘

전대환의 책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보일날 제목 조회 수
1537 2011-03-24 “이 정도면 괜찮지!” 5329
1536 2006-05-12 “저를 해방하소서!” 2950
1535 2006-04-10 “평화는 미소와 함께 시작된다!” 3000
1534 2007-06-27 가끔 혼자 있어야 한다 4997
1533 2005-02-14 가끔은 물러나서 기다리라 2658
1532 2009-09-08 가난뱅이의 눈, 부자의 눈 3355
1531 2004-03-30 가난한 사람들을 아십니까? 1950
1530 2004-07-16 가난한 예수들 2792
1529 2007-12-12 가난한 예술가의 행복 2909
1528 2008-11-05 가능한 일과 불가능한 일 3234
1527 2009-04-08 가르치기와 배우기 3471
1526 2005-07-26 가르침 2693
1525 2003-10-06 가만히 있어 봅시다. 2135
1524 2009-05-13 가슴 훈훈한 기억 3164
1523 2006-01-13 가슴이 시키는 것을 하라 3346
1522 2009-07-24 가용성 오류 3708
1521 2008-10-09 가을의 기도 3349
1520 2003-10-29 가을의 기도 1800
1519 2009-09-01 가을의 사색 3592
1518 2010-01-26 가이사와 더불어 일어서느니보다 42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84 Next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