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환의 항암일기

혈액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중입니다. 증상과 치료과정을 공유합니다.

전대환 채널 바로가기

글쓴날 2010-11-22 
실린곳 이야기마을 
▶트위터(Twitter): 전 세계의 트위터 가입자들이 자기의 의견을 말하고 상대의 의견을 듣는 온라인 광장(www.twitter.com).

▶타임라인(Timeline): 트위터 사용자들이 쓰는 글을 노출시켜주는 공간.

▶팔로우(Follow): 내가 누군가(@Some_one)를 팔로우한다는 것은 그(@Some_one)가 쓰는 글을 나의 타임라인에 노출시키겠다는 뜻.

▶팔로워(Follower): 내가 쓰는 글을 누군가(@Some_one)가 자기의 타임라인에 노출시키겠다고 하는 것.

▶맞팔: 나도 그(@Some_one)를 팔로우하고 그(@Some_one)도 나의 팔로워인 경우.

▶선팔: '선'(先)과 '팔로우'(Follow)의 합성어. 누군가에게 접근하여 내가 먼저 그의 팔로워가 되는 것.

▶언팔로우(Unfollow): '언팔'이라고도 함. 그(@Some_one)의 글을 타임라인에서 이젠 보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하는 기능.

▶블록(Block): 나도 그(@Some_one)의 글을 보기 싫고, 그도 나를 팔로우하지 못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

▶맞팔율: (나의 Followers중 내가 Following한 사람의 수 x 100) / Followers수. 나를 팔뤄하는 사람이 100명이고 내가 팔륑하는 사람의 수가 90명이라면 맞팔율은 90%.

▶트윗(Tweet): 하고 싶은 말을 140자 이내로 타임라인에 적는 것.

▶리트윗(RT): 다른 사용자가 타임라인에 올린 글을 내가 다시 소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 보통 'RT'라고 한다. 자신의 의견을 덧붙일 수 있다.

▶추천(Retweet): 리트윗과 비슷한 기능이지만,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지 않고 글쓴이의 이름으로 나의 팔로워들의 타임라인에 나타나게 하는 기능(화살표뱅뱅이를 누르면 됨).

▶멘션(Mention): 누군가(Some_one)를 지정해서 말을 하고 싶을 때 그 사람의 아이디를 붙서 글을 쓰면 그 사람이 따로 챙겨서 읽게 된다. 보통 아이디 앞에 '@' 표시를 달아주고(@Some_one) 말하면 된다.

▶응답(Reply): 누군가가 나에게 말을 걸어왔을 때 응답하는 기능. '멘션'의 경우처럼 아이디 앞에 '@'표시를 달아주고(@Some_one) 말을 시작하면 된다.

▶쪽지(Direct Message): 다른 사용자들은 볼 수 없고 쪽지를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만 볼 수 있는 기능이다. 쪽지를 주고받으려면 서로 '맞팔' 관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프로필(Profile): 자신을 소개하는 글. 바이오(Bio)라고도 한다.

▶플픽: 프로필 사진(Profile Picture)을 줄여서 부르는 말. 자신의 얼굴이나 좋아하는 캐릭터를 사용하여 자신을 소개하는 사진.

▶리스트(List): 팔로워 수가 늘어나면 타임라인에 올라오는 글들을 다 읽을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할 때 열어볼 수 있도록 관심 팔로워들을 분류해서 목록을 만들어두는 것.

▶관심글(Favorites): 중요한 글, 두고두고 참고할 만한 글이라고 생각되는 경우, 글 옆의 별표를 클릭하여두었다가 따로 볼 수 있게 모아두는 것.

▶폭트: '폭풍 트윗'을 줄인 말로, 타임라인에 수다를 마구 쏟아내는 일.
'전대환의 토막 생각'을 시작하며
119 최저시급 인상
118 최저시급 인상에 편의점 적자?
117 누구 좋으라고?
116 장세용 구미시장의 폭언
115 한국일보의 커밍아웃
114 오늘 문재인 대표 기자회견 요약
113 2019.2.28 북미정상회담 요약
112 크로아티아, 최초로 월드컵 결승 진출
111 팩트 없는 보도
110 자유한국당, 또 당명 바꾼다!
109 자유한국당 구미시의장, 수상한 수의계약
108 녹색당 이미지
107 단서 못 찾은 검찰
106 토착왜구 유래
105 이른바 '테러방지법'
104 윈도10에서 향상된 기능
103 실명을 밝혀라!
102 인내심의 한계를 시험하는 사람들
101 토착왜구란?
100 이적행위

LOGIN

SEARCH

MENU NAVIGATION